NATURAL STYLE
자연 그대로의 느낌을 추구하는 내추럴 인테리어 스타일(Natural Interior Style)은 모던 인테리어와는 상대적으로 반대편에 있는 연출법이다. 
식물로 자연을 연출하는 플랜테리어(Planterior)나 보태닉 인테리어(Botanic Interior) 또한 내추럴 인테리어 스타일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내추럴 인테리어는 오가닉한 소재인 나무, 흙, 삼베 등을 인테리어에 활용하는데  특히 우드 소재는 벽면이나 바닥재, 각종 소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사용된다.
주로 화이트, 그린, 브라운 등 천연 색감을 자주 사용하며 소재의 질감을 살려 자연 그대로의 느낌을 연출하는 인테리어 스타일이다
.
MORDEN STYLE
모던 인테리어 스타일(Modern Interior Style)은 주거 공간, 상업 공간 등에서 가장 자주 마주칠 수 있는 트렌디한 인테리어 스타일 중 하나다. 이름 그대로 ‘현대적인’ 스타일의 모던 인테리어는 기능성과 실용성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심플한 간결함을 추구하는 ‘미니멀 인테리어(Minimal Interior)’와도 맞닿아 있다.이러한 기능성 위주의 스타일은 직선적이고 장식이 없는 가구에 반영된다. 전체적으로 블랙이나 화이트, 그레이 등 모노톤의 컬러를 주로 사용하며 패턴을 사용할 경우 스트라이프나 체크 등 기하학적인 디자인의 패턴을 이용한다. 주로 대리석이나 메탈, 가죽 등 차갑지만 반짝이는 소재를 많이 활용하지만 이러한 차가운 느낌을 경감시키기 위해 패브릭 소재나 식물 등을 함께 배치하기도 한다 .
INDUSTRIAL  STYLE
최근 많은 인기를 얻고 있는 인더스트리얼 인테리어 스타일(Industrial Interior Style)은 산업 혁명 이후 방치된 공장 등의 상업형 건물을 주거 공간으로 활용하면서 만들어졌다. 기계적인 공장 느낌을 떠올리게 하는 거친 금속제품, 오래된 원목 등의 소재와 함께 노출 콘크리트, 노출 천장 등은 인더스트리얼 인테리어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다. 페인팅이나 마감 없이 사용하는 벽돌 벽면을 사용하기도 하는 등 거칠지만 감각적인, 그러면서도 심플한 스타일이 인더스트리얼 인테리어의 매력이다.
IDEA SPACE
사무환경은 변화하고 있다. 개성없는 획일적인 공간에서 각자의 업무스타일을 존중한 기능위주의 공간으로 변모하고 있다. 업무공간은 부서간 이동배치 및 기능을 언제든 변화를 줄수있는 후렉시블한 구조로 변화하고 있으며 연구직. 마케팅. 관리직등의 업무스타일에 중점을 두어 자유로운 방식의 근로환경으로 변화하는 추세이다. 회의는 회의실에서만이 아닌 오픈공간에서 가능하며 업무집중공간을 배치하여 효율성을 높일수 있는 구조로 접목하고 있다.
노출천장(Exposed Ceiling)
최근들어 사무실 환경개선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수동적 기계식 업무보다는 능동적이고 자율적인 업무방식이 성과 및 효율이 더 높다는 인식이 들면서 이다. 또한 앞서 서술했던 일과 삶의 밸런스를 중시하는 워라밸의 중요성이 대두 되면서 이다. 도심가의 건축물의 천정고는 평균2,400mm~2,700mm 내에서 건축되어 있다. 시각적으로 답답하고 공간이 좁아보인다. 그로인해 심리적으로도 위축되어 업무효율 또한 극대화 하기 힘들다.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노출천장을 많이 선호하는 추세이다. 천정면에서 보통 1M~1.5M는 천정고를 더 확보할수 있다. 노출로 인하여 시각적 개방감을 확보할 수 있으며 공간활용 또한 유리해 졌다. 직원들의 심리적 안정에 도움을 주며 사무실 시설문제 또한 한눈에 볼수 있는 장점이 있다.